캠프 마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캠프 마켓은 1930년대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건설되어, 미군 주둔 기지로 사용되다 1973년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관된 군사 시설이다. 한국 전쟁 이후 ASCOM 기지로서 물류 허브 역할을 했으며, 베트남 전쟁 이후 축소되어 2019년 일부 부지가 반환되었다. 현재는 토양 오염 문제로 인해 부지 정화 및 반환을 앞두고 있으며, 부평구 주민들의 안전과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부평구 소재의 관공서 - 제1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17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인천 지역 방위를 담당하며 미추홀, 백승, 승리, 북진 보병여단과 천둥포병여단 등을 예하에 두고 있다. - 인천 부평구 소재의 관공서 - 인천광역시북구도서관
인천광역시북구도서관은 부평구에 위치하며, 다양한 평생 교육 프로그램과 독서 문화 진흥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기여하고, 자료실, 열람실 등의 시설과 지역 사회 독서 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수행하는 도서관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1973년 폐지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1973년 폐지 - 부천군
부천군은 1914년 여러 지역을 합쳐 경기도에 신설되었으나, 잦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서울, 부천, 인천 등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었고, 1973년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후 나머지 지역은 인근 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캠프 마켓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캠프 마켓 |
원래 명칭 | Camp Market |
일부 | USAG 용산 |
위치 | 대한민국 인천시 부평구 산곡동 |
종류 | 군영 |
건설 | 일본 제국 육군 공병대 |
건설자 | 알 수 없음 |
재질 | 콘크리트 |
규모 | 알 수 없음 |
사용 | 1930년대~1945년 (일본 제국 육군), 1945년~1973년 (주한 미군) |
해체 | 2020년 |
상태 | 철거 후 개발 예정 |
소유자 | 인천광역시 부평구청 |
공공 개방 | 예 |
통제 | 알 수 없음 |
주둔 | 알 수 없음 |
현재 지휘관 | 알 수 없음 |
지휘관 | 알 수 없음 |
점유 | 알 수 없음 |
전투 | 알 수 없음 |
사건 | 알 수 없음 |
2. 역사
캠프 마켓은 1930년대 중반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처음 건설되었다. 1945년 일본이 미국 육군에 항복하면서 미군이 이 기지를 인수하였고, 이후 ASCOM(육군 지원 사령부) 단지로 운영되었다.[1]
ASCOM 단지는 과거 서울 및 인천항과 연결되는 철도를 통해 물류 지원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1972년부터 ASCOM 운영이 단계적으로 축소되었고, 1973년에는 단지 대부분의 기능이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되면서 관할권이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관되었다.[1] 과거 물류 수송에 사용되었던 철도는 현재 운행되지 않지만, 일부 구간과 신호 지점 등 흔적이 남아있다.
2. 1. 일제강점기 조병창
1939년, 조선총독부는 현재의 부평1동과 산곡3, 4동 일대에 일본 제국 육군의 조병창을 설립하였다. 이듬해인 1940년 4월 1일에는 지금의 부평구 전역을 인천에 편입시키면서 조병창의 규모 또한 확장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조병창 운영과 군수품 생산을 위해 여러 하청업체를 선정하였는데, 여기에는 多田組|다다 구미일본어, 玉操組|다마보 구미일본어, 關東組|간토 구미일본어, 淸水組|시미즈 구미일본어(현재의 시미즈 건설), 間組|하사마 구미일본어 등이 포함되었다. 부평 조병창은 빠르게 군수산업단지로 성장하였으며, 이곳에서 생산된 군수품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전쟁 물자로서 각지의 일본군에게 보급되었다.[5]2. 2. 미군정 시기 (ASCOM 도시)
1945년 일본 제국의 패망 이후, 미국 육군은 일본 제국 육군이 건설했던 이 기지를 인수하여 영구적인 DSAFE(Defense Support and Equipment영어) 기지로 지정했다. 이후 이곳은 ASCOM(육군 지원 사령부) 단지로 운영되었다.[1] ASCOM 지역이라는 명칭은 아래 네 개의 캠프 이름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캠프 이름 | 영문명 |
---|---|
캠프 그랜트 | Camp Grant |
캠프 마켓 | Camp Market |
캠프 타일러 | Camp Tyler |
캠프 헤이즈 | Camp Hayes |
한국 전쟁 중인 1951년, 유엔사령부 소속 부대가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으로부터 인천 및 부평 지역의 통제권을 확보하면서 ASCOM 단지는 다시 가동되기 시작했다. 미국 해병대는 ASCOM 지역에 "인천 보충소"(Inchon Replacement Center영어)와 한국 지원사령부(U.S. Marine Support Command for Korea영어)를 설치했다. 한국 해병대 지원 사령부와 인천 보충대는 한국 전쟁 이후 ASCOM의 첫 번째 주요 입주 부대였다.[1] 당시에는 북부와 남동부 지역을 잇는 제대로 된 운송 네트워크가 부족했기 때문에, ASCOM 단지 내에 거대한 물류 허브가 건설되었다. 과거 우체국까지 연결되었던 철도는 서울과 인천항 등 다른 지역을 연결하며 물류 지원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USAG 험프리스와 같은 대규모 기지가 들어서기 전까지 중요한 기능이었다.[1]
1963년에는 7개의 육군 기술창이 있었는데, 주한 미군은 이를 하나로 묶어 제8군 창(Eighth United States Army Depot (EUSA Depot)영어)으로 지정했다. 이듬해인 1964년에는 ASCOM 창으로 다시 개편되었으며, 시설 관리는 ASCOM 지역사령부 예하 제20지역지원단이 맡았다.[1]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군비 축소와 데탕트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한반도에 주둔하던 미국 육군 제1(I)군단과 제7보병사단이 철수하게 되었다. 이 부대들을 지원하던 ASCOM 역시 규모가 축소되었다.[1] AMC와 CECOM은 통신 및 방위 장비 관련 업무를 하청업체에 맡기기 시작했는데, 이를 위해 민간 주도의 통합 계약업체 단지인 ESSC(Integrated Civilian-Led Contractor Site영어)를 구상했다. ESSC는 캠프 마켓을 포함하여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 텍사스주 포트 후드, 독일 프리드리히스펠트에 설치되어 6개의 정보 전자전 지역 지원 센터를 지원했다.[1]
1972년에는 미사일과 항공 지원 작전 기능이 캠프 험프리스로, 중장비 정비 지원 기능이 캠프 캐럴로 각각 이전되면서 ASCOM의 운영 단계는 낮아지고 관할 지역도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ASCOM은 제8군 지원처로 축소되었다. 결국 1973년 1월 31일에 ASCOM 단지의 가동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6월 30일에는 단지의 통제권이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관되었다. 필요한 모든 지원 작전 기능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되었다.[1]
2. 3. 한국 전쟁 이후
1951년, 한국 전쟁 중 유엔사령부 소속 부대가 조선인민군과 중국인민지원군으로부터 인천, 부평 지역의 통제권을 확보하면서 ASCOM 단지는 다시 가동되기 시작했다. 미국 해병대는 ASCOM 지역에 "인천 보충소"(Inchon Replacement Center|Inchon Replacement Center영어)와 한국 지원사령부(U.S. Marine Support Command for Korea|U.S. Marine Support Command for Korea영어)를 설치했으며, 이들은 한국 전쟁 이후 ASCOM의 첫 번째 주요 입주 부대였다.[1] 당시에는 지역 간 운송망이 부족했기 때문에, ASCOM 단지 내에 거대한 물류 허브가 건설되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1963년에는 7개의 미국 육군 기술창이 통합되어 제8군 창(Eighth United States Army Depot (EUSA Depot)|Eighth United States Army Depot (EUSA Depot)영어)으로 지정되었고, 이듬해인 1964년에는 ASCOM 창으로 개편되었다. 시설 관리는 ASCOM 지역사령부 예하 제20지역지원단에서 담당했다.[1] ASCOM 지역의 약어는 캠프 그랜트, 캠프 마켓, 캠프 타일러, 그리고 캠프 헤이즈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군비 축소와 데탕트 현상이 나타나면서 주한 미군의 규모도 축소되었다. 미국 육군 제1(I)군단과 제7보병사단이 한반도에서 철수하였고, 이들을 지원하던 ASCOM 또한 그 기능과 규모가 축소되었다.[1]
1972년, 미사일과 항공 지원 작전 기능이 캠프 험프리스로, 중장비 정비 지원 기능이 캠프 캐럴로 옮겨지면서 ASCOM의 운용 단계가 낮아지고 관할 지역도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ASCOM은 제8군 지원처로 축소 개편되었다.[1] 이듬해인 1973년 1월 31일에 ASCOM 단지의 가동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6월 30일에는 ASCOM 단지의 통제권이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관되었다. 모든 필요한 지원 운영 기능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되었다.[1]
2. 4. 베트남 전쟁 이후 축소 및 반환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군비축소와 데탕트 현상이 나타나면서, 미국 육군 제1군단과 제7보병사단이 한반도에서 철수하였다. 이 부대들을 지원하던 ASCOM 또한 규모가 축소되기 시작했다.1972년에는 미사일과 항공 지원 작전 기능이 캠프 험프리스로, 중장비 정비 지원 기능이 캠프 캐럴로 각각 옮겨지면서 ASCOM의 운용 단계가 낮아지고 관할 지역도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ASCOM은 제8군 지원처로 축소되었다. 이듬해인 1973년 1월 31일에는 ASCOM 단지의 가동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6월 30일에는 단지의 통제권이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관되었다.[1]
이후 2002년에 체결된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Land Partnership Plan|LPP영어)에 따라 캠프 마켓의 이전 계획이 확정되었다. 마침내 2019년 12월 11일, 캠프 마켓은 다른 3개의 주한 미군 기지와 함께 일부 구역이 대한민국에 반환되었고, 해당 구역은 공여구역에서 해제되었다.
3. 주요 시설 및 역할
캠프 마켓은 공식 명칭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이름이다. 부평에 위치한 창고형 기지로, 극동지역 군수 지원 활동(DSAFE)을 위한 곳이다. 이 기지는 대한민국 내 다른 주한 미군 작전에 필요한 물류 및 생산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시설로는 마케팅 사무소, 인쇄 및 출판 사령부 - 한국 지부, 그리고 육군 및 공군 교환 서비스(AAFES)의 국방 재활용 시설 등이 있다. 과거에는 김포 우편 시설로 사용되기도 했다. 캠프의 전체 면적은 약 약 83612.74m2이며, 약 600명의 상근 직원이 근무하는데, 이들은 주로 한국인 민간인, 개인 계약자 및 한국 지원단(KATUSA)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2] 기지 내에는 체육관, 수영장, 커뮤니티 센터, 피크닉 구역, 여러 스낵바 등 제한적인 편의 시설이 있다.[2]
3. 1. ASCOM 구역
캠프 마켓은 과거 미국 육군의 육군 지원 사령부(ASCOM) 단지 중 하나로 운영되었다.[1] ASCOM 단지는 한국 전쟁 이후 물류 및 생산 지원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북부와 남동부 지역 간 운송 네트워크가 부족했던 시기에 중요한 물류 허브로 기능했다.[1] 한국 해병대 지원 사령부와 인천 보충대가 한국 전쟁 이후 ASCOM 단지의 주요 입주 부대였다.[1]ASCOM 지역은 여러 캠프로 구성되었으며, 그 약어는 다음 캠프들의 이름 앞 글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캠프 명칭 (영문) | 약어 기여 |
---|---|
캠프 그랜트 (Camp Grant) | G |
캠프 마켓 (Camp Market) | M |
캠프 타일러 (Camp Taylor) | T |
캠프 헤이즈 (Camp Hayes) | H |
주: 원본 소스에는 캠프 해리스(Camp Harris)도 언급되나, ASCOM 약어 유래 설명에는 포함되지 않음.[1]
AMC와 CECOM이 통신 및 방위 장비 관련 하청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민간 주도의 통합 계약업체 단지인 ESSC(Integrated Civilian-Led Contractor Complex)가 설립되었다. 캠프 마켓은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 텍사스주 포트 후드, 독일 프리드리히스펠트와 함께 ESSC가 위치한 곳 중 하나였으며, 이 단지들은 6개의 정보 전자전 지역 지원 센터를 지원했다.[1]
1972년부터 ASCOM 운영은 단계적으로 축소되기 시작했으며, 1973년에는 ASCOM 단지의 대부분이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관되었다. 필요한 지원 운영 기능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되었다.[1]
3. 2. 주둔 부대
- 인천 보충소
- 한국 지원사령부
부대명 | 주둔 시기 및 비고 |
---|---|
제19병기창 | |
제55병참창 | 1955년 ~ 1965년 4월 30일[6] |
제565공병자재창 | |
제4통신단 | |
제20지역지원단 | |
제69수송대대 | 1960년대 (제20지역지원단 예하) |
제30병기중대 | 1960년대 (제20지역지원단 예하) |
제595정비중대 | 1960년대 (제20지역지원단 예하) |
제199인사근무중대 | 1960년대 (제20지역지원단 예하), 나중에 제8인사사령부로 전속 |
제6의무창 (=제6보급소) | 1955년 11월 ~ 1973년 6월 1일 |
제192병기대대 | |
제512정비대대 | |
제37공병중대 | |
제76공병중대 | |
제55항공중대 | |
제55헌병중대 | 1980년대 |
제516경장비정비중대 | 1965년 12월 27일 |
제564병참중대 | |
제121후송병원 | 1971년 용산기지로 이동 |
ASCOM 지역사령부, R&R 파견대 | |
제8057보충대 | |
극동군수지원반 | 미국 육군 공병대 극동지구대 |
3. 3. 편의 시설
캠프 마켓 내에는 제한적인 편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현재 운영되는 주요 시설로는 체육관, 수영장, 커뮤니티 센터, 피크닉 구역, 그리고 여러 개의 스낵바가 있다.[2] 과거에는 KATUSA를 위한 별도의 스낵바가 있었으며, 이 외에도 구기 경기장, 야영지, 지역 주점, 군매점 등의 시설이 언급되기도 했다.4. 현재 상황 및 과제
2002년에 체결된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Land Partnership Plan (LPP)영어)에 따라 이전 계획이 확정되었고, 2019년 12월 11일 다른 기지 3곳과 함께 일부 부지가 반환되어 공여구역에서 해제되었다.
현재 캠프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운영이 중단되거나 다른 기지로 이전되었다. 정문은 영구적으로 폐쇄되었고, 캠프는 폐쇄될 예정으로 소수의 경비원만 근무하고 있다.[2] 시설 자체도 매우 노후화된 상태이다.
가장 큰 과제는 심각한 토양 오염 문제이다. 이로 인해 부평구 주민들의 우려가 크며,[2] 미국 육군 시설 폐쇄 후 대한민국 정부는 토양 정화에 상당한 비용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캠프 인근에 학교가 많아 신속한 정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4. 1. 토양 오염 문제
캠프 마켓은 토양 오염 문제로 인해 부평구 주민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2] 미국 육군 시설이 폐쇄되면 대한민국 정부는 인근 주민들의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토양 정화에 상당한 비용을 지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현재 부평공원으로 사용될 부지의 토양은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으며, 정화 과정을 위해 2017년까지 폐쇄된 상태였다. 해당 부지는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될 예정이다.
부평구 주민들은 토양 오염뿐만 아니라 캠프에서 발생했을 수 있는 다른 오염 물질에 대한 우려 때문에 구 의회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특히 이 지역에 많은 학교가 있기 때문에 신속한 정화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지구 내에 또 다른 대한민국 육군 보병 및 보급 캠프가 있고, 4개의 예비군 훈련소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4. 2. 부지 활용 방안
캠프 마켓 부지는 현재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운영이 중단되거나 다른 캠프로 이전된 상태이다. 정문은 영구적으로 폐쇄되었고, 보급 트럭을 위한 특정 게이트만 운영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금속 게이트로 막혀 있다. 캠프는 폐쇄될 예정으로, 소수의 경비원만 근무하고 있다.[2]가장 큰 문제는 심각한 토양 오염이다. 이로 인해 부평구 주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2] 미국 육군 시설 폐쇄 후 대한민국 정부는 토양 정화에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캠프 마켓 부지의 토양 오염이 심각하여 정화 작업이 시급하며, 해당 부지는 대한민국 정부에 반환될 예정이다.
캠프 시설 자체도 매우 노후화되었다. 기지 주변은 꼭대기에 가시 철사가 쳐진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벽에는 "미국 정부 재산, 무단 침입 금지"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밤에는 낡은 가로등이 기지를 비추고, 이전 출입구를 통해 낡은 건물들을 볼 수 있다. 부평구 주변에서는 두 개의 높은 굴뚝과 저장 탱크가 있는 오래된 공장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토양 오염 및 캠프에서 발생 가능한 다른 오염 물질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로 인해 부평구와의 갈등이 존재한다. 특히 캠프 인근에 많은 학교가 위치해 있어 신속한 정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해당 지역에는 또 다른 대한민국 육군 보병 및 보급 캠프가 있으며, 4개의 예비군 훈련소까지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amp Market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6-04-01
[2]
웹사이트
Camp Market Army Base in Bupyeong, South Korea | MilitaryBases.com | US Military Bases in South Korea
http://militarybases[...]
MilitaryBases.com
2016-04-01
[3]
뉴스
부평미군기지 2017년 시민 품으로
http://www.incheonne[...]
인천뉴스
2015-10-08
[4]
뉴스
정부 "원주·부평·동두천 미군기지 4곳 반환완료"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9-12-11
[5]
웹인용
인천역사: 지명의 유래
https://www.incheon.[...]
2016-12-27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